유튜브 강의록/언어와문학

언어와 문학 제 1강 - 내용과 형식

_요한 2021. 5. 5. 14:18

안녕하세요, 리나쌤의 5분 국어 영역, 관리자 요한입니다.😁

 

오늘은 유튜브 강의 언어와 문학 제 1강 - 내용과 형식의 강의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의 영상 강의는, 유튜브 채널 "리나쌤의 5분 국어 영역"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무료 영상 강의 보러 가기!

 


미술색채를 통해 아름다움을 표출하고,

음악은 소리를 통해서 아름다움을 표출합니다.

문학은 언어를 통하여 아름다움을 표출합니다.

언어가 그 매개체가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언어'란 무엇일까요?


'언어는 뜻 있는 음성이다.' 이렇게 말합니다.


동그라미의 아래에는 이라는 글자가 쓰여 있고,

위에는 사진이 있지요?

이것이 바로 언어입니다.😊😊

 

음성을 둘 다 갖추어야 언어가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언어는 뜻있는 음성이다. 이렇게 말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 은, '내용', '의미' 이렇게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

'음성'은 '형식', '기호', '음성 상징' 이렇게도 말합니다.

그래서 언어는, 음성 - 내용형식으로 되어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여기에서 생각을 조금 확장해 볼까요?

 

서두에서 말했 듯이, 언어를 매개체로 하는 예술이 문학인데,

문학의 종류에는 시, 소설, 희곡, 수필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점이 달라서, 문학의 종류를 서로 구분하는 것일까요?

앞서 설명한 언어는 '내용과 형식으로 되어 있다.'를 떠올려 보면,

 

문학내용과 형식에서 그 종류가 나누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각각의 문학의 종류의 형식과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언제 어디서나 이 도표를 흰 종이에 완성하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내용 형식
정서 운율
소설 허구적인 인물의 삶 이야기
희곡 대사
수필 실제 경험과 감상 자유롭다


도표를 보고,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할까요?

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정서, 묻자 마자 대답 하셔야 되죠?

네, '추상적 구체적'에서 배웠습니다. 

시의 내용은 정서입니다.

사람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감정을 '정서'라고 하는 것이죠.

의 형식은 무엇이냐? '운율'이죠.

시의 형식인 운율은, 다른 문학의 형식에 비해 매우 독특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를 '운문'이라고 하죠😄😄

 


소설로 넘어갑시다.

소설과 희곡의 내용은 허구적인 인물의 삶입니다.

허구라는 말은, '상상에 의해서 만들어낸' 이라는 뜻이죠?

소설과 희곡에는, 상상에 의해서 만들어낸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그 인물들 중에서, 작가가 누군가를 통해 주제를 실현하려고 할 때,

그 인물을 우리는 '주인공'이라고 합니다.

정리해보면, 소설내용허구적인 인물의 삶인데,

그 많은 인물들 가운데서도, '주인공'을 통해서 주제가 실현 됩니다.

다음으로 소설의 형식을 살펴볼탠데요,

그런데, 의외로 생각이 잘 안 나는 것 중에 하나가 소설의 형식인데요.

소설의 형식은 '이야기'에요.

'이야기'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이야기라는 말이에요.

"너 무슨 일이 있었다며? 무슨 일인지 나한테 이야기해봐."

그 '이야기'입니다.

 

소설과 마찬가지로, 희곡내용은, 허구적인 인물의 삶이에요.

희곡에서도 역시, 작가는 주인공을 통해서 주제를 실현합니다.

그렇다면 희곡형식은 무엇일까요?

바로 '대사'에요. 희곡은 '대사의 문학'이죠? 그래서 대사입니다.😉😉

 


이제 수필을 살펴보죠.

문학은 보통 작가의 상상을 바탕으로 합니다.

그런데 수필은 조금 독특해요.

수필의 내용은 '실제 경험한 것'과 '감상' 두 가지입니다.

자, 요즘 많이 쓰이는 말이죠? Fact죠.

실제 경험한 것이 반드시 들어 있어야 돼요.

그리고, 그것만 있으면 안 돼요. 거기에서의 '감상'이 들어 있어야 합니다.

수필의 형식도 여러분들이 잘 아시죠? '자유롭다'.

또는, "무형식의 문학"이다. 이렇게 말해요.

"무형식의 문학" 이라고 해서, '형식이 없다.'라고 말하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형식이 없으면 언어가 될수 없잖아요?

그래서 "정해진 형식이 없다". 그래서 '무형식'이라고 말하죠?

그래서, 수필의 내용은 실제경험 한 것과 감상이고,

형식은 자유롭다. 이렇게 하면 되겠습니다.

 


자, 도표의 내용을 모두 살펴 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 해봅시다.

는 내용이 정서이고, 형식은 운율입니다.

소설의 내용은 허구적 인물의 삶이며, 형식은 이야기입니다.

희곡은, 내용이 허구적인 인물의 삶이며, 형식은 대사입니다.

수필실제 경험 한 것과 감상이 들어 있어야 하며, 형식은 자유롭습니다.


이 도표는, 여러분들이 언제나 어디서나 백지에

완벽하게 그릴 수 있어야 되는 아주 중요한 내용입니다.😉😉

 

자, 이번에는 이 내용을 시험에 어떻게 대입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까요?⭐


문학 작품이 출제되었을 때, 주제를 찾는 문제는 언제나 출제되는 것이죠?

그런데, 주제는 내용에서 찾을까요, 형식에서 찾을까요?

네, 주된 내용이 주제 잖아요?

그러니까 내용에서 찾아야 합니다.

그러면 를 읽을때, 주제를 찾으려면 무엇을 찾으셔야 돼요?

정서죠.😉

소설주제를 찾으려면 누구를 찾아야 돼요?

 

인물이죠. 그 중에서도 주인공을 찾으셔야 돼요.

희곡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제를 찾으려면 누구를 찾으셔야 되나요?

주인공을 찾으셔야 됩니다.

자, 수필은 어떻게 할까요?

네, 글에서 경험한 것이 무엇이고,

감상이 무엇인지를 구별해서 찾아 내셔야 합니다.

이것이 시, 소설, 희곡, 수필의 주제를 찾는 방법이에요.

 


주제는 주된 내용이다.

그러니까 시, 소설, 희곡, 수필의 주제는, 내용 중에서 찾아야 한다.

 

이 도표는, 앞으로 세번의 강의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