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제 3강 - 음운의 종류
안녕하세요, 리나쌤의 5분 국어 영역, 관리자 요한입니다.😁
오늘은 유튜브 강의 음운 제 3강 - 음운의 종류의 강의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의 영상 강의는, 유튜브 채널 "리나쌤의 5분 국어 영역"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YouTube
www.youtube.com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인식의 소리라고 했습니다.
이 음운은 크게 둘로 나뉘어지는데, 음소와 운소로 나뉘어집니다.
음소는 분절음운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분절음이라는 뜻은,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 언어학적 단위를 말합니다.
분절음운이라는 것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는 거예요. 그런 말입니다.
그러니까 음소-분절음운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습니다.
네, 자음은 닿소리라고 하죠. 혼자 쓸 수 없어요. 모음과 닿아야 소리납니다.
모음은 홀소리라고 하죠. 혼자 소리날 수 있어요.
운소는 비분절음운, 학교문법에서는 그렇게 말하고요.
학문 문법. 언어학에서는 초분절음운. 이렇게 말합니다.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글자 그대로에서 무엇인가 때문에 뜻이 달라지는 것을 말하지요.
네. 우리 학교문법에서는 길이를 대표적인 운소로 말하고 있습니다.
길이에 따라서 뜻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서 [말]을 짧게 말할 때와, [말:] 길게 말할 때 뜻이 달라지죠.
짧게 말하면 뛰는 말 - 짐승이구요.
길게 말하면 인간의 입에서 나오는 [말:] 할 때는 길게 소리가 나지요.
이와 같이 ㅁ,ㅏ,ㄹ 자음 모음 체계는 같지만
그것을 짧게 내느냐 길게 내느냐에 따라서 뜻이 달라집니다.
그러니까 이것을 음운의 하나인 운소라고 하는 것이죠.
두 번째 운소로 높낮이를 들 수 있어요. 높낮이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중국어의 성조입니다. 중국어의 성조는 4성이 있고요. 또 경성이 있고요.
이렇게 여러 개의 성조가 있어서 같은 소리라고 하더라도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서
다른 뜻이 됩니다. 이것이 운소 중 높낮이. 성조이지요.
훈민정음에 보면, 우리나라에도 15세기에 성조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상성이 장음이 되었다. 그 정도로 흔적만 남아 있습니다.
운소의 세 번째 것으로는 억양을 들 수 있습니다.
높낮이나 길이는 그 글자에 작용합니다.
글자 또는 단어에 작용하지요.
그러나 억양은 문장 전체와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문장의 종류에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한 단어의 억양을 다르게 함에 따라 문장의 종류를 바꿀 수 있는 것이죠.
예를 들어서 '가다'라는 동사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 그러면 '간다' 평서문이죠.
그런데 '가?' 그렇게 올리면, '가니?' 의문문이에요.
'가~'이렇게 말하면 '가자' 청유문이죠.
근데 '가!' 이렇게 말하면 명령문이 됩니다.
억양에 따라 문장의 종류까지 바뀌게 되지요. 결국은 뜻이 바뀐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억양도 운소에 속합니다.
그 다음 아주 흔하게 쓰는 것 중에 하나가 강세가 있습니다.
이것은 진폭을 높게 하거나 낮게 해서 그 뜻을 강조할 때 사용하지요.
예를 들어서 친구와 약속을 했는데 그 친구는 잘 오기는 하는데 시간을 안 지켜요.
그러면 그 시간을 안 지키는 친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영수야. 여섯시에 도서실에서 만나. 이렇게 그 시간을 강세를 주게 되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지요. 이것이 강세.
중요하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운소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이 강세는 우리말에서 한국어에서는
이와 같이 그 부분 부분의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하지만,
영어의 경우를 보면 한 단어 안에서 어떤 음절. 앞이냐 뒤냐.
어느 부분에 강세가 있느냐에 따라서,
뜻도 달라지고 품사도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로는 perfect라는 단어가 있어요. perfect 라는 단어가
앞 부분에 강세가 올 때는 '완벽하다'는 뜻의 형용사가 되지요.
우리 친구들이 더 잘 알 거예요.
그런데 perfect 이렇게 뒷부분에 강세가 올 때에는
'완성하다'라는 뜻의 동사가 됩니다.
이와 같이 그 각각의 언어의 따라서 음소와 운소는 다 있습니다.
어느 나라 언어나 자음 모음 체계는 다 있고요. 운소도 다 있어요.
그러나 이렇게 조금씩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 더 알려 드릴 게 있어요.
수학능력고사 국어 영역에서 음운에 대해서
오늘 우리가 다룬 것처럼 상세하게 나오는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 출제될 때에,
예를들면 시에서 '이 시와 관계된 것을 고르세요.'라고 했을 때
'같은 음운을 반복해서 사용하여 리듬감을 높였다'라고 써 있는 경우 있어요.
그랬을 때 '음운'은 우리 친구들은 '자음과 모음'이라고 기억하면 됩니다
물론 문법적으로 음운에 대해서 음소와 운소를 잘 기억하셔야 겠죠.
그러나 실제 시험에서 '음운'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자음과 모음이다' 이렇게
얼른 생각하시면 답을 아주 쉽게, 정확하게, 빠르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음운은 자음과 모음이다' 이렇게 기억하세요.😄😄